KOREAN CONFERENCE OF RELIGIONS FOR PEACE

기후위기 시대, 성장을 넘어 탄소중립과 전환사회를 위한 종교의 실천

DIGITAL ARCHIVE

불교

DIGITAL ARCHIVE

인사말

지구는 기후위기라는 초유의 상황으로 6차 대멸종이라는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고 많은 전문가들이 경고하고 있습니다. 인류가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미증유의 상황입니다. 인류가 온 힘을 다해 대응하지 않으면 결국 파국에 이르게 될 만큼 우리 앞에 닥친 현실은 녹록하지 않습니다.

여전히 우리 사회는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환경보다는 경제’, ‘미래세대보다는 당대’의 이익을 우선시 하며, 성장 중심의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와 국회, 그리고 기업은 물론 종교계와 시민사회는 함께 머리를 맞대고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실질적인 제도와 정책 등을 통해 이 난국을 해결하는데 적극 동참해야 합니다. 기후위기는 직접적으로는 탄소자원의 과다한 사용으로 발생한 온실가스가 지구온도를 높여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그 근본에는 자연과 자원이 무한하다는 착각, 성장만을 추구하는 경제시스템, 편리함과 안락함에 젖은 생활습관, 무분별한 과소비 등 인간의 탐욕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여기에 자연과 인간은 별개가 아닌 하나이며 이 세상은 모든 존재가 인과관계로 얽힌 인드라망이라는 이치를 모른 채, 우리 스스로 자연을 정복과 이용대상으로만 간주해왔습니다. 이 위기를 극복하려면 지금까지 인류가 형성해 온 이원론적 세계관과 인간중심주의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기후위기는 지금까지 우리 사회와 개인이 지향해 온 삶의 방향과 방식에 대해 총체적이고 전면적인 전환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존재하는 모든 것은 인연화합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은 생주이멸(生住異滅), 성주괴공(成住壞空) 한다고 가르치셨습니다. 영원히 성장할 수 있다는 환상과 욕망에서 깨어나 더불어 행복한 소욕지족(少欲知足)의 삶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기후위기 시대, 자연을 인간의 욕망을 위해 수탈하고 착취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 있고 공존해야 함을 깨닫게 하는 너무나 소중한 가르침이 아닐 수 없습니다. 우리 모두 이러한 가르침에 따라 우리의 삶을 생명살림의 삶으로 전환시켜 자연의 순환 질서를 되찾고, 다음 세대의 삶의 기반을 유지해 나가도록 함께 노력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실천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알리고 많은 대중을 부처님 가르침으로 인도하는 가장 적극적인 종교적 실천 활동이기도 합니다.

아무리 먼 길도 내딛는 처음 한 걸음부터 시작합니다. 우리의 일상생활부터 바꾸지 않고 거대한 변화를 바랄 수는 없습니다. 사찰과 불자들의 일상생활에서 지구 생명을 지키며, 탄소 중립과 녹색전환을 위한 실천 활동에 불교계가 앞장서는 것은 물론, 인류의 세계관과 가치관의 대전환을 촉구해야 할 때입니다. 이 지침서가 기후정의 실현과 탈성장 문명전환을 위한 생명살림의 길에 들어선 우리의 실천에 작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2022. 12.

한국불교종단협의회 회장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한국종교인평화회의 공동회장

진우 합장

DIGITAL ARCHIVE

선언문

기후환경위기 극복 실천선언문

佛弟子답게 마음청정, 지구청정을 위한 실천에 나서겠습니다.

21세기, 인간은 법화경의 ‘화택’에서 살고 있는 형국입니다.
기후위기와 코로나19 창궐 등 각종 생태 위기가 지구생명공동체에게 닥치고 있습니다. 지구 평균기온 1.1℃ 상승은 세계 곳곳에 산불, 폭우, 홍수, 가뭄과 태풍 등의 극단적 기후재난을 야기하여 기후난민을 양산하였습니다. 또한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종의 발생은 세계인을 불안감에 휩싸이게 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미래세대는 기후파업, 멸종저항, 나아가 ‘범지구적 체제전복’의 화재경보기를 울리며 새로운 희망을 찾으려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이에 불자들이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을 위해 대오각성해야 합니다.
불제자들이 참회하며 초발심으로 회향하겠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차유고피유차기고피기(此有故彼有此起故彼起), 차무고피무차멸고피멸(此無故彼無此滅故彼滅)’이니, ‘모든 존재가 서로 상호 의존하므로 존중하며 공생할 것’을 설법하셨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사바세계는 인류사회가 수백 년 동안 물질적 풍요와 탐심으로 인드라망인 지구를 무제한으로 지배하고 수탈한 공업(共業)의 후과(後果)를 받고 있습니다.
한국불교종단협의회는 사부대중이 보현보살의 행원력으로 재난에 처한 중생을 구제하고, 기후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실천행동에 나서고자 합니다. 오래토록 불자답게 여법하게 살지 못한 생활 습관을 참회하고 초발심으로 회향하는 중·장기 불교실천행동을 다음과 같이 선언합니다.
첫째, 나를 바꿔 세상을 바꾸겠습니다.
<금강경>에는 "모든 상(相)이 상 아님을 보면 여래를 보리라(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라고 가르침을 설하셨지만, 지금까지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상(相)에 사로잡혀 다양한 생물종의 멸종 위기를 목도하면서 생태 위기를 남의 일처럼 방조해왔습니다.
따라서 수처작주(隨處作主)의 자세로 무명의 삶을 마치고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항상 자신을 돌아보고, 생명존중, 자리이타, 보살행을 실천하여 서로 상생하며 살도록 애쓰겠습니다. 나아가 뭇 생명을 존중하며 공생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내가 하겠습니다’. 에너지 절약, 대중교통 이용 등의 개인적 실천부터 시작하여, 동네로, 나아가 지역사회, 이웃 종교와 협력하여 자원순환사회를 위한 쓰레기 제로를 위한 실천운동을 펼치겠습니다.
둘째, 소욕지족(少欲知足)하겠습니다.
부처님은 ‘나(我)’나 ‘내 것(我所)’이라는 관념이 고통의 근본이고, 오온개공(五蘊皆空)임을 설법하셨지만 우리는 팔정도(八正道)로 나아가지 못하고 팔사행(八邪行)에 빠지곤 했습니다. 이제 다시금 본래 내 것은 없음을 알아차리고, 동체대비심으로 살겠습니다. 물질적 풍요가 행복의 조건이 아님을 깨달아, 자발적 소박한 삶을 실천하며, 윤리적 소비로 소욕지족을 실행하고, 필요하지 않은 물건은 나누며 이웃과 공유와 협력을 생활화하겠습니다.
셋째, 생명살림 방생을 실천하겠습니다.
발우공양은 불살생의 계율에 따라, 채식으로 마련된 음식을 섭생하는 것에서 나아가 천지자연의 공덕과 은혜에 감사하며 수행정진을 다짐하는 의식을 통한 불법 체현의 방편입니다. 더구나 채식이 식생활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70%나 줄일 수 있다고 하니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중요한 실천방침의 하나이므로 동참 발원합니다.
기후재난으로 인해 식량자립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우리나라의 식량자급을 위해서 농업을 지키고 자립하는 사회를 만드는데 힘을 보태겠습니다. 또한 개체의 방생보다 생태계를 살리는 것이 참다운 방생임을 알아 나무심기, 철새 먹이주기 등 생태방생을 하겠습니다.
넷째, 자업자득, 결자해지 자세로 미래세대에게 청정지구를 물려주겠습니다.
2018년 10월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서 채택된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는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1.5℃ 아래로 억제하는 결의안을 채택하였습니다. 이 목표를 이루려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50%로 감축해야 하고,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선 화석연료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면서 화력발전을 하루 빨리 폐기하여야만 합니다. 그런데, 세계적으로 기업 RE100 (2050년까지 사용 전력량의 100%를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로 조달하겠다는 국제 캠페인)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데 반해, 국내 참여기업은 고작 20개에 불과한 형편입니다.
따라서 불자들이 스스로 사찰, 불교시설의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고 태양광 풍력 발전 설치, 녹색사찰운동 등을 실천함과 더불어 기업 RE100을 촉구하면서 지역의 ‘RE100 시민클럽’ 등에도 참여하여 가정, 지역의 에너지 전환운동에 앞장서겠습니다. 나아가 정부와 국회가 온실가스배출 감축을 강제할 수 있는 진전된 법·제도를 마련해나갈 수 있도록 촉구하고 힘을 보태겠습니다.
이상과 같이, 불자들은 화택(火宅)에서 자식을 구하는 심정으로, 2030 온실가스감축과 2050탄소넷제로(중립)목표 완수를 위한 세계적 실천에 앞장서서 동참하는 것이 불국정토를 구현하는 길이라 밝힙니다. 또한 생태 위기 해결은 우리가 지배와 추출 중심으로 조직된 약탈경제에서 생명세계와의 상호의존관계에 뿌리내린 경제로 전환할 때만 가능하므로, 세계 인류사회가 긴밀하게 상호 협력하며 공동의 노력을 반드시 기울여야만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부처님 제자로서 보살행을 행하여, 기후위기 시대를 끝내고 새로운 지구 생명공동체 시대를 열어가는 각계각층의 모든 사회적 실천과 공동 행동을 함께 할 것을 선언합니다.
2022년 7월 20일
사단법인 한국불교종단협의회

기후위기 극복 불자행동 지침

마음청정 지구청정 Pure Mind, Pure Earth

  • 비움 (Simple Life)
    소욕지족(少欲知足) 운동
    물질은 소박하게 마음은 풍요롭게
    적게 소유하며 검소한 삶을 통해 마음의 풍요를 누리겠습니다
    적게 구입하고, 오래 끝까지 쓰며, 윤리적 소비로 살기
    자연과 이웃 덕분에 살아감에 감사하며 살겠습니다.
    자연과 이웃의 은혜 알고, 감사와 고마움으로 베풀며 살기
    본래 내 것은 없음을 알고, 나누고 배려하며 살겠습니다.
    무소유와 나눔, 자비의 마음으로 돌봄과 배려의 삶을 살기
    위가 아니라 옆으로 성공하는 삶을 살겠습니다.
    물질적 성공에 집착하지 않고 이웃과 협동하며 공동체로 살기
  • 바꿈 (Changing Life)
    수처작주(隨處作主) 운동
    나를 바꿔 세상을 바꾼다
    자신을 살피고 주변을 돌아보며 천천히 살겠습니다.
    마음을 살피고 욕심과 화를 다스리며 수행과 평화명상 생활화하기
    쓰레기 제로의 자원순환사회를 만들겠습니다.
    발우공양, 일회용품 사용금지, 비닐 플라스틱 사용절제, 농어촌 쓰레기 줍기
    에너지를 절약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겠습니다.
    에너지를 절약하고, 건물의 에너지 효율화, 전기자동차 사용하기
    채식위주의 식사와 발우공양문화를 실천하겠습니다.
    육식을 줄이고 채식을 장려하며 소식하는 빈그릇운동 실천하기
  • 살림 (Saving Life)
    생명방생(生命放生) 운동
    우리가 살리면 우리를 살린다.
    동물을 보호하고 살리며, 생명들이 고통 받지 않게 하겠습니다.
    현대적 방생 실천, 살처분 반대, 동물권 옹호, 미래세대 권리 옹호하기
    나무를 심고 숲을 가꾸며 풍요로운 자연을 만들겠습니다.
    나이만큼 나무심기, 산감제도 부활, 사찰숲 가꾸기
    농업을 지키고 자립하는 사회를 만들겠습니다.
    농업자립 지원, 텃밭 가꾸기, 귀농귀촌 장려, 농촌공동체 만들기
    개발보다 생태계를 보존하는 일을 우선하겠습니다.
    무분별한 개발금지, 자연서식지 습지 보호, 생태파괴 기업 투자 철회
  • 미래 (For the Future)
    자업자득(自業自得) 운동
    미래세대에게 피해 물려주지 않기
    환경과 생태문제를 배우고 이웃과 더불어 실천합니다.
    종단•교구별 환경위원회 설치, 환경교육 실시, 조직 만들고 실천하기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탄소중립사회를 이루겠습니다.
    사찰과 불교시설 태양광 풍력 등 재생가능에너지 이용, 넷제로(Net-Zero) 실천
    지역적으로 실천하고 지구적으로 생각하겠습니다.
    지역단체와 협력하고 지역순환사회 만들기, 전지구적인 문제해결에 참여
    가난한 이들과 난민, 미래세대를 위한 활동을 하겠습니다.
    고통 받는 이웃과 난민 지원, 공정무역, 미래세대를 위한 활동